열대 및 아열대 과일은, 기원지 또는 상업적 재배지역이 열대 및 아열대인 과일작물,
또는 상록성 다년생 수종으로 냉해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여 10℃ 이하에서는
생육이 어려운 과일작물을 의미한다.
열대와 아열대 과일작물의 구분은 어렵지만, 주로 열대 과일작물은 20℃ 이하의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생육이 멈추고, 생존을 위한 월평균 최저기온이 10℃ 이상이 되어야 하며,
다습한 환경을 요구한다. 망고스틴, 두리안, 람부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아열대 과일작물은 20℃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덜 민감하게 반응하며,
비교적 찬 아열대 지역의 겨울에는 성장을 멈추고 봄이 되면 다시 성장하는
작물로 귤류 및 아노나류가 대표적이다. 바나나, 아보카도 등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폭넓게 재배되기도 하여 열대와 아열대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도 흔하다.열대 지역이란 보통 적도와 남 · 북회귀선(남 · 북위 23°의 위도) 사이를 의미한다.
그러나 열대 지역이라도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은 열대기후가 아니고,
아열대 지역이라 할지라도 해안 지역과 대양 섬의 경우는 열대에 알맞은 생육여건을 가지므로,
열대지역에 남 · 북위 30° 지역의 일부가 포함되기도 한다.
기후적으로 보면 열대 지역은 연중온도가 27℃ 정도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며,
가장 더운 달과 추운 달의 평균기온 차이가 크지 않아 그 차이가 일교차와 크게 다르지 않고,
계절별로 일장에 큰 차이가 없으며, 최장일장이 13시간 이하이고 다습한 지역을 의미한다
이에 비하여 아열대 지역은 여름은 매우 덥고, 겨울은 비교적 추우며, 습도가 열대 지역보다 낮고,
낮의 길이는 위도의 증가에 따라 길어진다.
아열대와 온대의 경계는 주로 가장 추운 달의 평균기온이 10℃ 이상인지
이하인지로 구분하는데 이들 기후적 조건을 충족하는 지역에 자라는
과일을 열대 및 아열대 과일작물이라 정의할 수 있다.
열대 및 아열대 과일은, 기원지 또는 상업적 재배지역이 열대 및 아열대인 과일작물,
또는 상록성 다년생 수종으로 냉해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여 10℃ 이하에서는
생육이 어려운 과일작물을 의미한다.
열대와 아열대 과일작물의 구분은 어렵지만, 주로 열대 과일작물은 20℃ 이하의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생육이 멈추고, 생존을 위한 월평균 최저기온이 10℃ 이상이 되어야 하며,
다습한 환경을 요구한다. 망고스틴, 두리안, 람부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아열대 과일작물은 20℃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덜 민감하게 반응하며,
비교적 찬 아열대 지역의 겨울에는 성장을 멈추고 봄이 되면 다시 성장하는
작물로 귤류 및 아노나류가 대표적이다. 바나나, 아보카도 등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폭넓게 재배되기도 하여 열대와 아열대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도 흔하다.열대 지역이란 보통 적도와 남 · 북회귀선(남 · 북위 23°의 위도) 사이를 의미한다.
그러나 열대 지역이라도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은 열대기후가 아니고,
아열대 지역이라 할지라도 해안 지역과 대양 섬의 경우는 열대에 알맞은 생육여건을 가지므로,
열대지역에 남 · 북위 30° 지역의 일부가 포함되기도 한다.
기후적으로 보면 열대 지역은 연중온도가 27℃ 정도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며,
가장 더운 달과 추운 달의 평균기온 차이가 크지 않아 그 차이가 일교차와 크게 다르지 않고,
계절별로 일장에 큰 차이가 없으며, 최장일장이 13시간 이하이고 다습한 지역을 의미한다
이에 비하여 아열대 지역은 여름은 매우 덥고, 겨울은 비교적 추우며, 습도가 열대 지역보다 낮고,
낮의 길이는 위도의 증가에 따라 길어진다.
아열대와 온대의 경계는 주로 가장 추운 달의 평균기온이 10℃ 이상인지
이하인지로 구분하는데 이들 기후적 조건을 충족하는 지역에 자라는
과일을 열대 및 아열대 과일작물이라 정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