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스는 태국, 미얀마,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인도차이나반도의 내륙국가이다.
수도 : 비엔티안(인구 약 94만 명)
인구 : 748만 명(2022, UN)
면적 : 236,800㎢(한반도의 약 1.1배)
주요도시 : 루앙프라방, 방비엥, 빡쎄
주요민족 : 라오룸(50%), 라오퉁(30%), 라오숭(10%)
주요언어 : 러오어
종교 : 불교(69%), 토속신앙(28%), 기독교(1.5%)
통화 : 화폐단위는 킵(LAK; 라우스 킵)으로 지폐종류가 10만, 5만, 2만, 1만, 5천, 2천, 5백 짜리가 있다.
환율 : 1USD = 170.000 LAK(1,000 LAK = 50원)
천제 GDP : 191억불
1인당 GDP : 2,630불 / GDP성장률 : 0.4%
정치 : 사회주의 국가 또는 공산주의 국가이다. 현재 라오스의 정당은 라오인민혁명당. 국가 원수는 5년 임기로 선거로 뽑히는 국가주석이며 국회의 동의를 얻어 국가주석이 임명하는 정부수상이 있다
(옛날에는 정부의 정책을 당 정치국(11명)과 당 중앙 위원회(61명)에서 결정했다.
1991년 라오스는 헌법을 바꾸어 국회의원(85명, 임기는 5년)을 비밀 선거로 뽑도록 했다.
최근에는 132석으로 늘어났다.
라오스 특징
사원이나 개인 주택에 들어설 때는 신발을 벗는 것이 예의다. 고상 가옥 형태인 라오스의 집에 들어갈 때는 신발을 벗어 계단에 놓으면 되고, 실내에서는 낮은 의자나 방석 위에 앉는다.
남성은 일반적으로 양반다리를 하거나 다리를 한쪽으로 모으며, 여성은 주로 후자를 따른다.
라오스 사람들은 신체 부위 중 머리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발을 가장 불결한 것으로 여기므로 함부로 남의 머리를 만지거나 발로 사람을 가리켜서는 안 된다.
1년 내내 덥고 습기가 많은 온화한 열대기후이다.
라오스의 열대기후는 우기와 건기로 구분되는데 우기는 5월초부터 9월말까지이며, 건기는 10월부터 다음 해 4월경까지 계속된다.
라오스를 방문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는 11월에서 4월 사이이다.
-1월~4월 사이의 하절기에 라오스를 방문하는 경우 면으로 된 얇은 옷과 선글라스, 모자 등을 챙기도록 한다.
특히 선크림과 벌레퇴치 스프레이는 필수품이다.
-3월부터 5월까지는 가장 더우며, 이 시기의 하천 여행은 불가능하다.
-5월~10월 사이인 우기에는 방수재질의 옷과, 사원 방문 시 쉽게 벗을 수 있는 간편한 운동화나 샌들을 착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11월~12월 사이에 라오스를 방문 할 때는 심한 일교차나 라오스 북부 산악지대의 추운 날씨를 고려하여 스웨터, 자켓 등 따뜻한 겨울 옷을 준비하도록 한다.
라오스 시간은 그리니치 평균시보다 7시간 빠르다. (한국보다 2시간이 느리다)
관공서: 월-금 / 오전 8시-12시, 오후 1시-4시
은행: 월-금 / 오전 8시 30분-오후 3시 30분
가게는 대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지만 가게사정이나 휴일에 따라 영업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비자(Visa)카드 사용이 가장 일반화 되어 있으며 비안찬(Vientiane)과 루앙쁘라방(Luang Prabang), 사반나켓(Savannakhet), 참빠삭(Champasack) 등을 비롯한 대도시의 은행, 호텔 및 음식점 등에서 마스터(Master)카드와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merican Express)카드 또한 사용이 가능하다.
라오스에는 총 4개의 국제 공항, 비엔티엔(Vientaine)의 왓따이 국제공항(Wattay International Airport),
참파삭주(Champassak)의 팍세 공항(Pakse Airport), 루앙프라방 국제공항(Luang Prabang International Airport)과
사바나켓(Savannakhet)국제공항이 있다. 왓따이 국제공항은 방콕, 치앙마이, 하노이, 호찌민, 씨엠립, 프놈펜, 쿤밍, 광쩌우, 싱가포르, 서울, 쿠알라 룸푸르로부터 국제선이 오간다.
루앙쁘라방 국제공항에서는 방콕, 하노이, 그리고 치앙마이를 잇는 직행 항공편도 운행한다. 라오 항공(Lao Airlines)은 라오스의 모든 국내선과 그 외 주변국들의 수도를 오가는 항공편을 운행한다.
라오스를 오가는 주요 국제 항공사는 방콕 항공(Bangkok Airways), 타이 국제 항공(Thai Airways International), 베트남 항공(Vietnam Airlines), 중국 남방 항공(China Southern Airlines), 에어 아시아(Air Asia)가 있다.
라오스는 육로로도 접근이 가능한데, 이는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중국의 윈난성 (Yunnan Province)을 통해 가능하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13개의 국경 검문소에서 15일 입국비자를 발급 받을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입국 경로는 메콩 강을 가로질러 라오스와 태국을 잇는 비안찬의 우의대교(혹은 '우정의 다리' Friendship Bridge)를 통하는 것 이다. 입국 비자를 이미 소지하고 있는 경우, 캄보디아 븐캄(Veun Kham)을 통해 라오스로 입국 가능하다.
수도 비안찬(Vientiane Capital)에 있는 라오스-태국간 우의대교와 태국 농카이(Nongkhai)를 오가는 기차가 매일 운행된다.
라오스 사람들은 신선한 채소와 허브를 좋아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라오스 음식에는 채소와 허브가 들어간다. 고기와 생선은 보통 굽거나 쪄서 요리하므로 그 풍미가 살아있고 저지방이다.
라우스는 태국, 미얀마,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인도차이나반도의 내륙국가이다.
수도 : 비엔티안(인구 약 94만 명)
인구 : 748만 명(2022, UN)
면적 : 236,800㎢(한반도의 약 1.1배)
주요도시 : 루앙프라방, 방비엥, 빡쎄
주요민족 : 라오룸(50%), 라오퉁(30%), 라오숭(10%)
주요언어 : 러오어
종교 : 불교(69%), 토속신앙(28%), 기독교(1.5%)
통화 : 화폐단위는 킵(LAK; 라우스 킵)으로 지폐종류가 10만, 5만, 2만, 1만, 5천, 2천, 5백 짜리가 있다.
환율 : 1USD = 170.000 LAK(1,000 LAK = 50원)
천제 GDP : 191억불
1인당 GDP : 2,630불 / GDP성장률 : 0.4%
정치 : 사회주의 국가 또는 공산주의 국가이다. 현재 라오스의 정당은 라오인민혁명당. 국가 원수는 5년 임기로 선거로 뽑히는 국가주석이며 국회의 동의를 얻어 국가주석이 임명하는 정부수상이 있다
(옛날에는 정부의 정책을 당 정치국(11명)과 당 중앙 위원회(61명)에서 결정했다.
1991년 라오스는 헌법을 바꾸어 국회의원(85명, 임기는 5년)을 비밀 선거로 뽑도록 했다.
최근에는 132석으로 늘어났다.
라오스 특징
사원이나 개인 주택에 들어설 때는 신발을 벗는 것이 예의다. 고상 가옥 형태인 라오스의 집에 들어갈 때는 신발을 벗어 계단에 놓으면 되고, 실내에서는 낮은 의자나 방석 위에 앉는다.
남성은 일반적으로 양반다리를 하거나 다리를 한쪽으로 모으며, 여성은 주로 후자를 따른다.
라오스 사람들은 신체 부위 중 머리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발을 가장 불결한 것으로 여기므로 함부로 남의 머리를 만지거나 발로 사람을 가리켜서는 안 된다.
1년 내내 덥고 습기가 많은 온화한 열대기후이다.
라오스의 열대기후는 우기와 건기로 구분되는데 우기는 5월초부터 9월말까지이며, 건기는 10월부터 다음 해 4월경까지 계속된다.
라오스를 방문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는 11월에서 4월 사이이다.
-1월~4월 사이의 하절기에 라오스를 방문하는 경우 면으로 된 얇은 옷과 선글라스, 모자 등을 챙기도록 한다.
특히 선크림과 벌레퇴치 스프레이는 필수품이다.
-3월부터 5월까지는 가장 더우며, 이 시기의 하천 여행은 불가능하다.
-5월~10월 사이인 우기에는 방수재질의 옷과, 사원 방문 시 쉽게 벗을 수 있는 간편한 운동화나 샌들을 착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11월~12월 사이에 라오스를 방문 할 때는 심한 일교차나 라오스 북부 산악지대의 추운 날씨를 고려하여 스웨터, 자켓 등 따뜻한 겨울 옷을 준비하도록 한다.
라오스 시간은 그리니치 평균시보다 7시간 빠르다. (한국보다 2시간이 느리다)
관공서: 월-금 / 오전 8시-12시, 오후 1시-4시
은행: 월-금 / 오전 8시 30분-오후 3시 30분
가게는 대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지만 가게사정이나 휴일에 따라 영업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비자(Visa)카드 사용이 가장 일반화 되어 있으며 비안찬(Vientiane)과 루앙쁘라방(Luang Prabang), 사반나켓(Savannakhet), 참빠삭(Champasack) 등을 비롯한 대도시의 은행, 호텔 및 음식점 등에서 마스터(Master)카드와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merican Express)카드 또한 사용이 가능하다.
라오스에는 총 4개의 국제 공항, 비엔티엔(Vientaine)의 왓따이 국제공항(Wattay International Airport),
참파삭주(Champassak)의 팍세 공항(Pakse Airport), 루앙프라방 국제공항(Luang Prabang International Airport)과
사바나켓(Savannakhet)국제공항이 있다. 왓따이 국제공항은 방콕, 치앙마이, 하노이, 호찌민, 씨엠립, 프놈펜, 쿤밍, 광쩌우, 싱가포르, 서울, 쿠알라 룸푸르로부터 국제선이 오간다.
루앙쁘라방 국제공항에서는 방콕, 하노이, 그리고 치앙마이를 잇는 직행 항공편도 운행한다. 라오 항공(Lao Airlines)은 라오스의 모든 국내선과 그 외 주변국들의 수도를 오가는 항공편을 운행한다.
라오스를 오가는 주요 국제 항공사는 방콕 항공(Bangkok Airways), 타이 국제 항공(Thai Airways International), 베트남 항공(Vietnam Airlines), 중국 남방 항공(China Southern Airlines), 에어 아시아(Air Asia)가 있다.
라오스는 육로로도 접근이 가능한데, 이는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중국의 윈난성 (Yunnan Province)을 통해 가능하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13개의 국경 검문소에서 15일 입국비자를 발급 받을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입국 경로는 메콩 강을 가로질러 라오스와 태국을 잇는 비안찬의 우의대교(혹은 '우정의 다리' Friendship Bridge)를 통하는 것 이다. 입국 비자를 이미 소지하고 있는 경우, 캄보디아 븐캄(Veun Kham)을 통해 라오스로 입국 가능하다.
수도 비안찬(Vientiane Capital)에 있는 라오스-태국간 우의대교와 태국 농카이(Nongkhai)를 오가는 기차가 매일 운행된다.
라오스 사람들은 신선한 채소와 허브를 좋아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라오스 음식에는 채소와 허브가 들어간다. 고기와 생선은 보통 굽거나 쪄서 요리하므로 그 풍미가 살아있고 저지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