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에 관한 각종 통계를 알아봅시다 (나이차이, 연령, 국가 등)



안녕하세요 WTC봄실장입니다 ❤️
상담 문의를 주시는 남성분들의 단골 질문이죠.
'국제결혼, 보통 몇 살에 하나요?'
어제 저녁에 문의주신 고객님도 첫마디가 나이에 관련된 이야기였습니다. 30대 초반이시라 국제 결혼을 결정하기에는 아직 이른 나이인 것 같아서 30대 초반에도 국제 결혼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지 궁금해 하셨어요.ㅎㅎ
오늘은 국제결혼 평균 나이 등 국제결혼에 관련된
각종 통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제결혼을 한 다문화 혼인 비율
10쌍 중 1쌍
2022년 기준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결혼한 커플 10쌍 중 1쌍은 다문화 혼인이라고 해요.
앞으로 다문화 가정은 점점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통계에는 국제결혼업체를 통하지 않고 연애결혼한 데이터, 외국인 남성과 결혼한 한국 여성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전체 다문화 혼인은 1만 7428건으로 지난해 전체 혼인의 9.1%를 차지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9.1% p 증가한 수준입니다.
위드 코로나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결혼 부부 평균 나이 차이
7살
다문화 혼인 부부의 연령차는 남편 연상 부부가 74.5%로 가장 많았고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인 부부는 35.0%입니다.
이 중 다문화 혼인의 66.8%는 아내가 외국인이었고 남편의 나이가 7살가량 많았어요.



국제결혼 초혼 평균연령
남성 36.6세, 여성 29.9세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평균 초혼 연령은 36.6세, 아내 29.9세입니다.
국제결혼은 '결혼을 하지 못하는 50대 남성이 20대 여성과 결혼한다'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국제결혼 진행하시는 남성의 평균 연령대도 많이 낮아졌으며 20-30대 문의도 많아졌습니다.
간혹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여성을 원할 것 이라는 선입견을 가지신 분들이 많은데
오히려 나이 차이가 너무 많이 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시는 분들이 많으세요.
베트남은 결혼 적령기가 20대 중반이기때문에 20대 여성이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태국의 경우 우리나라와 결혼 적령기가 비슷해서 20대 후반- 30대 중반의 여성분들이 많습니다.



외국인 아내의 출신 국적
베트남, 중국, 태국 순
다문화 혼인을 한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 비중은 베트남(23.0%), 중국(17.8%), 태국(11.1%) 순입니다.



다문화 출생 비율 5%, 모의 평균 출산 연령 32.4세
지난해 다문화 출생은 1만 2526명으로 전체에서 5%를 차지했고 전년대비 0.5% p 감소했다. 다문화 출생의 유형은 외국인 모(61.0%), 외국인 부(20.0%)입니다.
다문화 모의 연령별 출산은 30대 초반이 36.1%로 가장 많았고 30대 후반 26.4%, 20대 후반 21.5% 순입니다. 다문화 출생에서 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32.4세, 전년대비 1.0세 증가했습니다.
다문화 출생에서 외국인 및 귀화자 모의 출신 국적 비중은 베트남(28.2%), 중국(16.3%), 태국(5.4%) 순입니다.
국제결혼을 진행하시는 남성분들의 연령은 낮아졌고 앞으로 더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20대 -30대의 남성분들의 문의도 굉장히 많아졌어요. 외국인 여성분들도 나이차이가 적은 배우자를 원합니다. 평생 같이 살 것을 생각하고 결혼하는 건데 어찌 보면 당연한 거죠~^^;;
아직 40대라 안주하고 계시나요?
국제결혼 고민 중이라면 WTC행복한국제결혼 봄실장과 상의해 보세요.
국제결혼 진행 비용부터 나와 맞는 국가가 어디인지 상담받아보시고 고민하세요!!



국제결혼에 관한 각종 통계를 알아봅시다 (나이차이, 연령, 국가 등)
안녕하세요 WTC봄실장입니다 ❤️
상담 문의를 주시는 남성분들의 단골 질문이죠.
'국제결혼, 보통 몇 살에 하나요?'
어제 저녁에 문의주신 고객님도 첫마디가 나이에 관련된 이야기였습니다. 30대 초반이시라 국제 결혼을 결정하기에는 아직 이른 나이인 것 같아서 30대 초반에도 국제 결혼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지 궁금해 하셨어요.ㅎㅎ
오늘은 국제결혼 평균 나이 등 국제결혼에 관련된
각종 통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제결혼을 한 다문화 혼인 비율
10쌍 중 1쌍
2022년 기준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결혼한 커플 10쌍 중 1쌍은 다문화 혼인이라고 해요.
앞으로 다문화 가정은 점점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통계에는 국제결혼업체를 통하지 않고 연애결혼한 데이터, 외국인 남성과 결혼한 한국 여성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전체 다문화 혼인은 1만 7428건으로 지난해 전체 혼인의 9.1%를 차지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9.1% p 증가한 수준입니다.
위드 코로나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결혼 부부 평균 나이 차이
7살
다문화 혼인 부부의 연령차는 남편 연상 부부가 74.5%로 가장 많았고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인 부부는 35.0%입니다.
이 중 다문화 혼인의 66.8%는 아내가 외국인이었고 남편의 나이가 7살가량 많았어요.
국제결혼 초혼 평균연령
남성 36.6세, 여성 29.9세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평균 초혼 연령은 36.6세, 아내 29.9세입니다.
국제결혼은 '결혼을 하지 못하는 50대 남성이 20대 여성과 결혼한다'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국제결혼 진행하시는 남성의 평균 연령대도 많이 낮아졌으며 20-30대 문의도 많아졌습니다.
간혹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여성을 원할 것 이라는 선입견을 가지신 분들이 많은데
오히려 나이 차이가 너무 많이 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시는 분들이 많으세요.
베트남은 결혼 적령기가 20대 중반이기때문에 20대 여성이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태국의 경우 우리나라와 결혼 적령기가 비슷해서 20대 후반- 30대 중반의 여성분들이 많습니다.
외국인 아내의 출신 국적
베트남, 중국, 태국 순
다문화 혼인을 한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 비중은 베트남(23.0%), 중국(17.8%), 태국(11.1%) 순입니다.
다문화 출생 비율 5%, 모의 평균 출산 연령 32.4세
지난해 다문화 출생은 1만 2526명으로 전체에서 5%를 차지했고 전년대비 0.5% p 감소했다. 다문화 출생의 유형은 외국인 모(61.0%), 외국인 부(20.0%)입니다.
다문화 모의 연령별 출산은 30대 초반이 36.1%로 가장 많았고 30대 후반 26.4%, 20대 후반 21.5% 순입니다. 다문화 출생에서 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32.4세, 전년대비 1.0세 증가했습니다.
다문화 출생에서 외국인 및 귀화자 모의 출신 국적 비중은 베트남(28.2%), 중국(16.3%), 태국(5.4%) 순입니다.
국제결혼을 진행하시는 남성분들의 연령은 낮아졌고 앞으로 더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20대 -30대의 남성분들의 문의도 굉장히 많아졌어요. 외국인 여성분들도 나이차이가 적은 배우자를 원합니다. 평생 같이 살 것을 생각하고 결혼하는 건데 어찌 보면 당연한 거죠~^^;;
아직 40대라 안주하고 계시나요?
국제결혼 고민 중이라면 WTC행복한국제결혼 봄실장과 상의해 보세요.
국제결혼 진행 비용부터 나와 맞는 국가가 어디인지 상담받아보시고 고민하세요!!